본문 바로가기
공부/기업분석

[기업분석] AP 시스템

by 사당동호랭이 2019. 10. 24.

기업명 : AP 시스템

 

1. 투자아이디어 

  ( 출처 : 하이투자 증권 리포트 )

 Parts : ELA 장비의 보수 유지 부품 수요.

 

 

2. 사업의 개요

 

 ** AMOLED 장비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용 핵심장비인 ELA(Excimer Laser Annealing : 레이저 결정화) 장비의 독과점적 점유율을 확보. 관련 블로그 (https://blog.naver.com/rjwltakf2010/221570685425)

  

 2-1. LTPS 결정화용 ELA 장비 (중소형)

  >> 삼성디스플레이 양산을 위한 4세대 이상의 AMOLED 제조 장비로, AP 시스템에서 제작하는 결정화 장비인 ELA 장비를 채택. 갤럭시 폴드의 수혜일지 주목.

 

 

 2-2. 봉지(encapsulation) 장비 (대형)

  >> 봉지장비는 AP시스템이 LCD 제조장비로 공급하고 있는 ODF system에서 액정분사장비를 제외한 나머지 장비로 구성되어있고, 2009년도 하반기부터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 중.

 대형 OLED의 투자로 인한 봉지 장비 수주 기대.

 

 2-3. LLO (Laser Lift Off) 장비

 Flexible Display 패널 제조의 핵심공정장비인 LLO 장비 또한 2011년 하반기부터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 중.

 갤럭시 폴드의 수혜장비일지 주목.

 

 2-4. 반도체 장비

 반도체장비인 급속열처리장비(Rapid Thermal Processing, RTP)장비는 산화공정에 쓰이며, 짧은 시간 이내에 웨이퍼를 고온으로 처리하는 공정. 삼성전자와 2000년대 초 공동개발로 시작하였고, 200mm RTP 장비를 시작으로 300mm RTP 장비까지 개발.

 

 2-5. FMM (Fine Metal Mask)

 

 < 2018.01.30 - KIPOST 기사 중 일부 : https://www.kipost.net/news/articleView.html?idxno=2194>

 

 <19.10.21 >

 

 APS홀딩스는 "10마이크로미터(㎛) 이하 두께 인바(Invar) 가공에 성공했다"며 "인바 가공기술과 AP시스템의 레이저 장비를 통한 패턴기술까지 내재화한 유일의 FMM 일괄생산업체"라고 했다. 철과 니켈의 합금인 인바는 FMM의 기판소재를 말한다. 

FMM은 중소형 OLED패널 양산라인의 증착공정에 쓰인다. 얇은 금속판에 미세한 구멍을 뚫은 FMM을 기판에 대고 증착공정을 진행하면 원하는 패턴으로 유기물을 기판위에 올릴 수 있다. 
OLED패널의 해상도를 높이려면 FMM에 더 많은 구멍을 뚫어야 한다. 구멍을 많이 뚫을 수록 구멍 크기는 더 작아진다. 이때 구멍 면적과 깊이간 비율(Aspect Ratio, A/R)이 증착에 영향을 주게 된다. 두께가 얇아야 면적·깊이 비율을 낮춰 원활한 증착이 가능하다.

APS홀딩스는 "10㎛ 이하 FMM 두께는 4K(UHD) 해상도 구현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했다. 현재 양산되는 중소형 OLED 패널의 최고 해상도는 3K(QHD+)다.

 

 (관련뉴스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87138)

 

 

 

 

3. 재무구조

 

 

 2017년까지 삼성디스플레이와 수주가 많았었는데, 근 2년동안 삼성디스플레이와 수주가 전무하여 

 2017년 4월에 분할 후 재상장 후 주가는 바닥을 기고 있음. 



4. 리스크

 4-1. 높은 부채율 : 그러나 점점 부채율을 줄이고 있어서 차츰 부채율을 줄이는 경영을 하지 않을까 예상.

 >> 2017년 423% -> 2018년 295% -> 2019년 2분기 256% ))

 4-2. 삼성디스플레이의 수주가 아직 없다는것. 

 >> 중소형 oled의 수주는 ELA의 부품 교체, 대형 oled는 봉지장비 수주를 기대.

     삼성디스플레이 MOU 맺지 못했다는 점.

 >>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Amp.html?idxno=3416

 

5. 결론

 : 언제 반등을 할지는 예상할 수 없지만 LCD이후에 OLED로 타겟이 변하는 모습은 확실하고,

그 중에서 17년 18년 수주가 상대적으로 뜸하여 주가가 많이 빠졌고, 

OLED cycle을 타면서 실적이 턴어라운드 될 수 있는 AP 시스템도 괜찮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공부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서진시스템  (0) 2020.02.27
[기업분석] 한양이엔지  (0) 2020.01.30
[기업분석] 나무가  (0) 2020.01.29
[기업분석] 와이지원  (0) 2019.12.11
[기업분석] 탑엔지니어링  (0) 2019.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