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사의 개요
삼성전자의 리모콘에 들어가는 센서, 스마트홈에 사용되는 센서등을 생산하는 업체.
2세경영이 본격화 되면서 IoT 센서를 신사업으로 진행중.
김승철 대표이사는 2세 경영인. 1세 경영인인 부친 김평길님이 경영을 지속했다면?? 아마도 리모컨만 만드는 회사이었지않았을까 라고 추측. 수학 전공으로 미국 박사 준비를 하려던 아들이 부친의 권유로 삼성전자 미래경영자 과정에 입소한 뒤 경영자로 변신하였고 신사업을 중심으로 매출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생각됨.
2. 매출구조
삼성전자 TV에 사용되는 리모컨 및 IoT 센서가 주 매출제품.
리모컨 센서가 74%나 차지하는 업체.
리모컨에도 점점 더 다양한 기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나쁘지않을 것 같음.
하지만 TV 리모컨의 퍼센트가 높아서 IoT나 다른 센서의 개발을 안하는것으로 시장에서 생각하는듯함.
IoT 센서는 리모컨 센서보다 가격이 높아 추후 경쟁력으로 생각함.
3. 재무
18년에는 영업이익이 10억으로 매우 낮았지만, 19년도에 껑충 성장함.
전자공시에서의 차이는 IoT 센서 제품의 판매로 보이고, 이는 단가가 높기 떄문에 이익이 많이 나는것으로 추정.
더군다나 삼성의 스마트싱스 가전제품과 스마트폰 연동이 영업이익을 높이는데 큰 공을 세우지않았을까 생각함.
중국공장이 20년에 많이 못돌아갔음에도 삼성TV가 코로나상황에서 많이 팔리면서 실적이 견조했을 것으로 판단됨.
4. 모멘텀
4-1. 스마트타이어 센서.
미래의 자동차에 중요한 키워드는 2차전지 및 수소같은 연료라고 볼 수 있지만, 자동차가 날아가는 것이 아닌이상, 반드시 들어가는 것은 2차전지 배터리도 아니고, 수소도 아니고 타이어 및 문, 창문 등등일텐데 그중에서 스마트타이어의 센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센서를 지속 공급을 한다면 꽤 좋은 먹거리가 되지않을까 생각.
4-2. 아파트 공급 정책에 따른 IoT 스마트홈.
건설주들이 많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요즘 재건축이니 재개발이니 하면서 많은 이슈가 있었던 것으로 보임. 재건축, 재개발의 키워드는 항상 새 아파트를 생각해볼 수 있음. 현관이나 조명, 가스레인지 등을 휴대폰으로 제어하는 스마트홈이 무조건 들어갈 수 밖에 없음.
특히 래미안에는 독점 납품을 하고 있다고 함.
4-3. 무료 와이파이
와이파이 모듈을 만드는데 정부에서 무료 와이파이 정책으로 깐다고 했었음..
무료 와이파이 활성화 수혜라고 볼 수 있음.
4-4. 스마트싱스와 하만 연결
스마트싱스가 사용자의 사용경험이나 어떻게 사용을 하는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봤을 때, 전장 업체인 하만과 스마트싱스가 연결이 되었을 때, 이동하면서까지 그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엄청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 삼성과의 관계를 봤을 때, 충분히 가능성이 있어 보이고, 하만을 9조5000억원 가량에 사서 스피커판매외에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지않은데 하만의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인 이그나이트와 삼진의 센서가 결합한다면 엄청난 시너지를 보일 수 있지않을까 생각함.
5. 리스크
5-1. 삼성전자 의존.
어쩔 수 없지만 아직은 삼성전자의 TV판매에 따라서 리모컨 판매가 늘어야지 지금의 이익을 유지할 수 있을 것.
다른 부분에서 판매율을 늘려야하지않을까..생각.
더구나 Hub 및 센서류는 삼성의 전략 변화로인해 매출 감소세가 이어져 이에 대한 신규판로 개척이 반드시 필요함.
5-2. 시장의 무관심
성장동력은 꽤 좋은 것 같지만, 거래량이 완전 꽝인 종목. ^^;;
뭐어어~~~ 리모컨!!! 고작 리모컨으로 주식시장에 있다고???
라고 생각하는 것 같음.
그리고 회사가 적극적인 IR을 하지않아서 더욱 그런것으로 생각함.
안정적으로 매출이 나오니 그닥 IR생각이 없는듯함.
6,000,000 상장 주식 중 2,661,560주 44.41 퍼센트가 가족 중심으로 똘똘 뭉쳐있음..
6. 결론
음.. 사업적으로는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 같기는 한데, 그게 언제일지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려면 IR을 좀 적극적으로 하고 유통 주식수를 늘려야 할 것 같긴한데, 딱히 지금 잘 먹고 살고있으니 그냥 새로운 제품개발하는데 몰두하는것이 아닌지 생각함.
1만원 아래로 가면 많이 살만할 것 같은데 모르겠음.. ㅎㅎ
사람들의 관심을 가지는지 지속 관찰을 해야할 필요가 있어보임.
'공부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엔바이오니아 (0) | 2021.08.09 |
---|---|
[기업분석] 제이엠티 (0) | 2021.05.30 |
[기업분석] 에프엔에스테크 (0) | 2021.04.04 |
[기업분석] 제너셈 (0) | 2021.02.25 |
[기업분석] 엑시콘 (0) | 202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