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사의 개요
라온테크는 2000년 3월14일에 설립되었으며, 2021년 6월17일 코넥스 시장에서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되었습니다.
반도체 및 FPD용 로봇 시스템과 산업용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6년 상호명을 나온테크에서 라온테크로 변경하였습니다.
+) 라온텍이라는 회사가 상장되어 라온테크와 라온텍을 헷갈릴 수 있는데, 라온테크가 반도체 관련 종목이라고 한다면, 라온텍은 XR쪽 이라는 점.
시총은 1200~1300억원대로 그렇게 높은 편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2023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5%, 80% 감소한 327억원, 18억원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반도체 설비 투자 둔화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2. 매출구조
반도체 웨이퍼 이송 로봇 및 자동화 모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반도체용 진공 로봇이며 공정 체임버로 이송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반도체 8대공정 중 산화, 식각, 박막증착, 금속 배선 공정에서 필요로 합니다.
진공 공정 장비는 EFEM(Equipment Front End Module)을 통해서 웨이퍼를 공급받아, 진공 환경과 평형을 만들고 진공 환경 내에서 로봇이 공정 체임버에 웨이퍼를 공급하는 모듈이 있는데, 이 모듈이 바로 반도체 웨이퍼 이송 진공 로봇과 이송 모듈입니다.
라온테크와 비슷한 국내기업으로는 싸이맥스와 로체시스템즈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둘다 우리나라에 상장되어있는 상장사이며, 이송장치를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하지만 조금 다른 분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싸이맥스는 EFEM(Equipment Front End Module)이라고 불리는 이송장치이며, EFEM은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카세트 (or FOUP이라고 불리는 보관함) 내의 웨이퍼를 공정 모듈에 공급하는 반도체 이송 장치입니다.
로체시스템즈은 삼성디스플레이향 자동화 시스템 장비 매출을 주로 하는 회사입니다.
그래서 라온테크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진공 이송 모듈 로봇제작 업체라고 볼 수 있고, 세계적으로 동일한 업무를 보는 업체는 미국의 브룩스 오토메이션, 일본의 얼박(ULVAC)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재무
재무는 우상향하는 양상이었습니다. 20~22년까지 지속상승이었지만, 삼성전자 및 하이닉스 같은 국내 대기업의 생산 계획을 축소하면서 자연스럽게 매출 및 영업이익이 줄어들었다고 생각됩니다.
4. 모멘텀
4-1. SK 하이닉스 향 + 삼성향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 점유율 확대
2010년부터 SK 하이닉스향으로 클러스터 타입 진공로봇과 이송 모듈을 공급을 해왔습니다. 2017년부터는 개별 제어 4arm 진공 로봇과 클러스터 타입 진공 로봇의 신뢰성 평가를 받아 2018년에 삼성전자 양산 라인에 데모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로서 국내 메이저를 모두 공급하는 모습을 보였고, 해외로의 진출을 개척해야 합니다.
브룩스 오토메이션이 기업 분할이 진행되던 시기에 미중 무역전쟁, 코로나확산, 러-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영향을 끼치다 보니 전방 산업의 반도체 고객사들이 진공 로봇 시장에서 기존 강자인 브룩스 외에 다변화를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후발주자인 라온테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4-2. 두산로보틱스의 상장과 로봇주들의 움직임
현재 라온테크는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주로 엮여있는데, 실상 움직임은 로봇주들이 상승할 때 따라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그림은 라온테크와 대표적인 로봇주인 에스비비테크, 에스피지, 레인보우로보틱스를 비교해서 캡처를 했습니다.
최근 2주정도의 흐름이 상승하다가 최근 같이 빠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반도체 및 반도체장비주로 엮여 있기에, 전통적인 소부장 기업과의 비교도 해봤습니다. 제가 아는 장비주들과 비교를 해봤는데, 크게 동일한 흐름으로는 보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23년1월부터, 뭔가 같은 종목이 한꺼번에 상승하는 경향이 많은 것 같습니다. 얼마전에 이차전지 주들의 대거 상승할 때,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 금양, 포스코 계열사 등이 한꺼번에 미친 랠리를 보여줬는데, 이차전지 주가 없어서 소외되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라온테크를 로봇관련주로 보고 있고, 두산 로보틱스가 상장하는 10월전까지는 로봇주의 상승에 어느정도 흐름을 탈 수 있지 않을까하는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5. 리스크
5-1. 반도체 환경
라온테크는 메모리 반도체 공정에 특화된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데, 현재는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24년도에는 HBM을 필두로 어두운 메모리반도체 산업이 점점 커지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5-2. 아직은 최신 공정까지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
회사 IR 자료에서도 Linear Platform이 요즘 대세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아직은 Twin 혹은 좋게 봐서 Individual Conrtrol 단계까지는 온 것으로 보입니다.
회사에서 홍보하는 자료에서는 Linear Platform을 아직 구현하지 못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램리서치에서 2020년에 개발한 장비에서 Linear Platform 장비를 개발하였기에, 아직은 거기까지는 구현을 못하는 것으로 보이고, Linear는 비메모리 반도체 같이 빨리 많이 만들어야하는 곳에서 사용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6. 결론
국내 유일의 진공로봇 및 모듈을 개발하는 라온테크입니다.
메모리 반도체 한정 국내 반도체 장비업체에 로봇팔과 모듈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아직 해외매출이 낮은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다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으나, 아직 기술격차는 꽤 나는 것으로 보이고, 발전해야 할 부분도 많아 보입니다.
매출과 영익으로 투자를 진행한다면 아직은 좋아 보이지 않지만, HBM과 함께 불어 올 24년 반도체 훈풍을 타고 성장한다면 주가는 저점대비 2~3배는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공부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에스비비테크 (0) | 2023.11.25 |
---|---|
[기업분석] 에이엘티 (0) | 2023.10.23 |
[기업분석] 에이프릴바이오 (0) | 2023.08.25 |
[기업분석] 태성 (0) | 2023.07.21 |
[기업분석] 셀트리온제약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