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업분석

[기업분석] 비씨엔씨

사당동호랭이 2023. 4. 14. 00:22

1. 회사의 개요

 쿼츠계의 신흥 강자!!!

 

 비씨엔씨는 반도체 식각 공정에 사용하는 포커스링을 생산하는 기업이고,  포커스링(=천연 or 합성쿼츠)는 반도체 8대공정 중 식각공정에서 사용하는 소모품 입니다. 포커스링은 식각 공정에서 웨이퍼를 잡아주는 부품으로 여러가지의 식각 공정에서 사용하는 소재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

 참고) 전도체 식각(poly etching) - SiO2

          유전체 식각(Oxide etching) - Si 소재

          금속식각(Metal etching) - AI2O3 기반 (알루미나세라믹)

==================================

 비씨엔씨는 일반 쿼츠제품도 판매를 하지만 합성쿼츠 포커스링을 주력으로 판매하는 기업으로서 일반 포커스링 대비 수명이 1.5배 길며 플라즈마에 강한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반도체 공정 Step수, NAND 적층수가 증가하면서 플라즈마 노출도 및 강도가 상승하고 있고 일반 쿼츠 대비 높은 내구성, 수명, 자외선 투과율을 가진 합성쿼츠 포커스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 제품인 합성쿼츠 QD9는 어떤 제품인가??

  공정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폴리에칭 공정에서 사용하는 쿼츠로 생각하면 되고, 특히 DRAM 제조시에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폴리에칭공정에서는 일반 쿼츠(=석영)를 주로 사용을 했는데 QD9이 점점 침투하고 있습니다. 3월말에 나온 하이투자리포트에서는 합성쿼츠 포커스링 침투율은 10% 수준으로 파악했고 23년2Q~3Q 부터 합성쿼츠 CAPA가 기존 대비 약 4배 증가하면서 침투율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참고) 게이트의 소재에 따라서 폴리, 옥사이드, 메탈 식각으로 나눠진다.

 QD9은 금속 불순물이 제거된 고순도 가스(SiCl4)의 증착 공정으로 제조되어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지 않아 파티클이 감소합니다. 작은 파티클 하나가 생산 중인 반도체 칩 하나에 들어가면 그 상황이 바로 불량을 유발하기 때문에 수율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매출구조

  매출은 주로 애프터 마켓 타켓으로 종합 반도체 업계에 부품을 납품하지만 장비업체인 쎄메스, 유진테크 같은 비포마켓으로의 매출도 있습니다. 개요에서 말했듯이 비씨엔씨는 DRAM을 생산할 때 사용하는 포커스링의 비중이 높습니다. 

 

3. 재무

 단순히 2022년도 4분기 생산능력을 보면 4만개 정도로 추정이 됩니다. 그러면 생산실적은 90%정도로 3만6천개로 추정.

 다수의 리포트상에서 QD9의 가격은 350만원 이상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서 36000*350만을 하면 대략 1260억원이 추산됩니다. 그런데 2022년 821억원 이고 QD9이 75% 매출일것으로 본다면 대략 620억. 그렇다면 그 해 대략 가동율 90%정도로 생산하고 판매는 생산실적의 대략 50%라고 보면 되는건지?? 파악이 필요합니다.

 2021년도로 봐도 12500개*350만 하면 대략 437억나오는데 매출액 643억의 70% = 450억으로 얼추 맞는거 같기도?? 

 

4. 모멘텀

 

 1) 합성쿼츠의 점유율이 높지않다

  앞서 10%의 점유율정도로 예측을 했었습니다. 현재 비씨엔씨의 점유율은 foundry 11%, nand 8%로 매출의 20% 가량밖에 차지하지않는데, foundry 공정의 미세화는 점점 진행이 될 것이고, nand는 적층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천연쿼츠보다는 악조건을 더 잘 견뎌내는 SiC나 합성쿼츠로 수요는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여러 보고서에서 보면 2Q23 ~ 3Q23 부터 합성쿼츠의 CAPA가 기존 대비 3배 이상 증가하면서 중장기적으로 30~40%까지 증가할 것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2) QD9+

  QD9은 미국 유리 제조 업체인 Corning 에서 잉곳을 구매해 합성쿼츠 포커스링 QD9을 생산하였습니다. QD9의 재료비는 6:4 정도의 비중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QD9+는 비씨엔씨 자체 제작한 잉곳을 사용하여 생산합니다. 그렇다는 것은 재료비가 줄면서 마진이 높아진다는 것이고 이론상으로는 24%의 마진 개선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22년 QD9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4%인 점을 감안 하면 영업이익률이 30%이상 상승 할 수 있으리라 예상합니다.  

 더불어 QD9에 비해서 제조 공정이 감축되고 가공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3) SiC 포커스링의 대체재로 부각 받고 있는 CD9 (B4C 보론카바이드 포커스링)

  아직 상용화가 되려면 한참 있어야 하겠지만 Oxide 에칭 공정에서 SiC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부품입니다. SiC는 Si대비 높은 내구성으로 Si를 대체하며 성장해왔지만, NAND의 고단화가 지속됨에 플라즈마 파워가 높아져서 SiC에서 C(Carbon)이 떨어져 나와 파티클 이슈로 인해 수율을 낮추는 상황이 발생하기에, SiC보다 더 높은 악조건을 견디는 새로운 물질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찾은 물질이 보론(=붕소)이고 파티클 발생이 적어 수율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CD9의 시간당 식각량은 SiC 대비 15%수준의 개선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상용화는 아직..좀... ^^;;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7917 

 

비씨엔씨, 차세대 포커스링 CD9 상용화 속도...고객사와 막바지 테스트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

반도체장비용 소재·부품업체 비씨엔씨가 차세대 포커스링 소재인 보론카바이드(B4C)의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고객사와의 꾸준한 테스트를 통해 B4C 도입의 걸림돌이었던 파티클 발생, 단

www.thelec.kr

 어느회사의 보론카바이드를 사용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http://m.globalepic.co.kr/view.php?ud=2022122809561155067114f971d_29 

 

삼양세라텍, ‘B4C’ 포커스링 상용화 추진

파인 세라믹 공정장비 전문기업 ㈜삼양세라텍(대표 주경)이 반도체 식각 장비의 차세대 포커스링(Focus Ring) 소재로 유력한 B4C(Boron Carbide: 보론카바이드) 포커스링을 양산화하기 위한 장비 개발을

www.globalepic.co.kr

 4) 반도체 식각공정 수 증가로 부품 소모량 증가 전망

5. 리스크

  1) 높은 valuation + 반도체 산업이 2분기까지는 좋지않을 전망

  

  삼성전자의 예상실적이 2분기 바닥을 찍고 올라가는데 4분기에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래서 한동안은 대장주의 실적 악화로 전방위적인 반도체 관련주는 좋지않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어떻게 되는지는 지켜봐야하겠습니다. 

 6. 결론

  전망 산업이 좋지못한 상황에서 한미 정상회담에서 어떠한 해법을 가지고 올지 에상이 안됩니다. 마이크론의 물량을 안사겠다는 중국과 마이크론 물량 팔지말라는 미국의 압박에 기존 판매하던 양은 어떻게 되는건지 머리가 아프네요. 중국에 반도체 수출 금지 라는 초강수가 나온다면 그 동안 반도체 수출 1등 국가에 물량은 어떻게 되는건지 가늠도 안됩니다. 

  정찰병으로 한주만 사서 지켜보다가 1분기 실적(안좋지않을까..) 확인해보고 매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